[자바/요약정리] 변수와 배열(Array)
안녕하세요.
#yeoneeblog 여니입니다 :)
오늘은 변수와 배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위의 그림을 참고하며 정의부터 알아보겠습니다.
* 변수 : 하나의 공간에 하나의 값을 담을 수 있음 ex) int a = 10; a = 20;
* 배열 : 하나의 공간에 여러개의 값을 담을 수 있음(같은 자료형의 값으로만 가능) 정확히 얘기하자면 배열의 각 인덱스 자리에 실제값이 담김(인덱스는 항상 0부터 시작한다)
예) int[] a = new int[3]; // int 형의 자료가 들어갈 수 있는 방을 3개 만든다 // 방 [0][1][2]를 만든것 // 인덱스는 항상 0부터 시작한다 // 배열의 크기 = 3, 마지막 인덱스 2 // 배열의 크기 = 5, 마지막 인덱스 4 // 문자열의 크기 = 5, 마지막 인덱스 4 // 항상 크기(길이) = n, 마지막 인덱스 = n-1
* a[0] = 1; a[1] = 2; a[2] = 3;
.
.
.
그렇다면 배열을 왜 써야할까?
변수만으로 프로그래밍을 하게 되면, 변수로 각각의 데이터를 보관하고자 할 때 각각의 변수를 만들어서 따로 관리해야한다. 저장된 값을 출력하고자 할 때 반복문이 사용 불가하기 때문이다.
만약 기록해야하는 변수가 100개, 1000개라면.... 정말 배열 없이는 프로그래밍이 불가능할 것이다.
< 1. 배열 선언>
*[표현법] 자료형 [] 변수형 자료형 변수명 [];
int a; // 변수 선언 int [] arr; // 배열 선언 int arr [];
< 2. 배열 할당>
이 배열에 몇 개의 값들을 보관할건지 배열의 크기를 지정해주는 과정이 필수. 지정한 갯수만큼 값이 들어갈 수 있는 방(인덱스)가 만들어진다.
*[표현법] 배열명 = new 자료형[배열크기];
arr = new int[5];
배열도 선언과 동시에 할당
<3. 배열의 각 인덱스(방번호) 자리에 값을 대입>
*[표현법] 배열명[인덱스] = 값;
arr[0] = 0; arr[1] = 2; arr[2] = 3; ... arr[n] = x;
배열의 가장 큰 장점 : 반복문을 활용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