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React
React - 'state'와 'setState()메서드' 란?
yeonee 여니
2023. 7. 25. 21:02
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https://blog.naver.com/sysysy0302 여니입니다 :)
yeonee 블로그 : 네이버 블로그
예쁘고 맛있게 먹고 건강하게,강인하지만 온화하게 행하라. ※맛스타운스타일상 인스타 www.instagram.com/s2._.y25n ※맛집감성일상 유튜브https://youtube.com/channel/@S2_yeonee 티스토리https://yeoneeluv.tistory.co
blog.naver.com
* state란?
* state ?
컴포넌트 내부에서 전역변수로 활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속성.
state안에는 변수의 유효범위와 무관하게 계속 유지되어야하는 전역변수값을
설정한다.
리액트 이벤트 부여방식. JSX함수로 태그에 인라인방식으로 on+이벤트명
부여가능.
부모컴포넌트로부터 전달받은 props를 전역변수에 저장 후, 버튼 클릭시
state에 담긴 값을 변경해주면서 화면에 출력해보는 기능을 추가.
* setState() 메서드란?
* setState()메서드
state의 상태도 변경시키면서 화면에 변경된 값을 불러오는 메서드.
setState사용시 컴포넌트의 State값이 변경됐다고 간주하여서
render메서드를 자동으로 호출함.
import {Component} from 'react';
class StateAndEvent extends Component{
constructor(props){
super(props);
this.state = {
StateString: '클릭전' ,
flag : true
}
}
StateChange = () => {
if(this.state.flag){
this.setState({StateString : "클릭됨" , flag : !this.state.flag })
}else{
this.setState({StateString : "클릭전" , flag : !this.state.flag})
}
// if(this.state.flag == true){
// this.state.StateString = "클릭됨";
// }
// console.log(this.state.StateString);
// this.forceUpdate();// 화면 강제새로고침.
}
render(){
console.log("render 호출");
return (
<div style={{padding:"0px"}}>
<button onClick={this.StateChange}>클릭</button>
현재 state :: StateString : {this.state.StateString}
</div>
)
}
}
export default StateAndEvent;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