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자율성 지지 (3)
Yeonee's Story
안녕하세요.#yeonee여니 여니입니다 :) 베싸육아 육아 대원칙 (7. 믿고 기다리기) - 아기가 일상에서 스스로 뭔가 해낼 수 있게 기다려주는 것 또한 아기의 자율성 지지의 방법이다. -작은 ‘성공 경험’을 통해 자신이 유능한 존재이며 이 세상을 통제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배워간다. -뭔가 성취해낸 경험을 해본 아기는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자아상을 만들어간다. (스스로를 유능하고 뭐든 할 수 있는 자신감 넘치는 사람으로 인식) -점차 도전을 즐기고 자신감 있는 모습으로 세상을 대하게 될 것이고, 새로운 도전을 성공하는 선순환이 만들어질 것이다. -에릭 에릭슨 ‘사회화이론’생후 18개월까지 아기들의 발달과업은 ‘신뢰감 획득’18개월~만 3세까지 2단계 발달 과업은 ‘자율성’(자율성 획득에 실패 => 수..
안녕하세요.#yeonee여니 여니입니다 :) 베싸육아 육아 대원칙 (5. 협조 얻기) -아기는 매일 부모와 상호작용하고 배우며 뇌가 발달한다.-자율성을 통해 스스로의 삶을 통제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기분으로 살아가며 삶의 많은 부분에 큰 영향을 끼칠 것이다. -아기에게 자율적으로 선택하게 하고 그에 따른 책임을 느끼게 하면 시행착오를 겪으며 더 나은 선택을 하도록 발전해나가고,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는 자신감이 생긴다. -아기들이 스스로 흥미를 가지고 하는 활동, 그리고 뭔가를 성취함으로써 ‘나는 유능한 존재야’라는 것을 느낄 수 있는 활동에 내적인 동기를 가지고 열심히 참여한다. - 즉, 자율성 지지를 통해 아기가 어떤 행동을 하거나 하지 않으려는 자발적인 동기를 이끌어낼 수 있고, 이는 ‘협조..
안녕하세요.#yeonee여니 여니입니다 :) 베싸육아 육아 대원칙 (3. 자율성 지지) -아기들은 본능적으로 열심히 탐색하고 배우려고 한다. 만져보고 조작해보고 입에 넣어보는 등 아기의 관점에서 본능적인 배움의 욕구를 이해하고, 그렇게 할 수 있도록 합리적인 수준에서 허용하는 것 : 자율성 지지하는 태도-부모와 상호작용하며 아기는 부모를 어떠한 존재로 인식하게 된다 : 표상 ex) 아, 이 사람은 ~한 사람이구나.- 부모가 필요한 순간에 얼마나 섬세하고 적절한 반응을 해주었느냐가 애착 형성의 열쇠이다.- 아기의 욕구 해소 등 자율성 지지를 통해 협조적이고 긍적적인 관계가 만들어진다.- 이후 훈육시 부모가 지속적으로 알려주는 사회 규칙을 거부감 없이 내재화하게 되고, 감정을 잘 조절하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