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809)
Yeonee's Story
안녕하세요. https://blog.naver.com/sysysy0302여니입니다 :) /* 2. UPDATE 테이블에 기록된 기존의 데이터를 수정하는 구문 [표현법] UPDATE 테이블명 SET 컬럼명 = 바꿀값, 컬럼명 = 바꿀값, ... -- 여러개의 칼럼값을 동시변경 가능 이때 AND 가 아니라 , 로 나열한다 WHERE 조건; -- WHERE절은 생략 가능한데, 생략시 모든테이블의 모든행이 바뀌게 된다. */ -- 복사본 테이블 만든 후 작업. CREATE TABLE DEPT_COPY AS SELECT * FROM DEPARTMENT; SELECT * FROM DEPT_COPY; -- DEPT_COPY 테이블에서 D9부서의 부서명을 전략기획팀으로 수정 UPDATE DEPT_COPY SET DEP..
안녕하세요. https://blog.naver.com/sysysy0302 여니입니다 :) 2. UPDATE 테이블에 기록된 기존의 데이터를 수정하는 구문 [표현법] UPDATE 테이블명 SET 컬럼명 = 바꿀값, 컬럼명 = 바꿀값, ... -- 여러개의 칼럼값을 동시변경 가능 이때 AND 가 아니라 , 로 나열한다 WHERE 조건; -- WHERE절은 생략 가능한데, 생략시 모든테이블의 모든행이 바뀌게 된다. ex) -- DEPT_COPY 테이블에서 D9부서의 부서명을 전략기획팀으로 수정 UPDATE DEPT_COPY SET DEPT_TITLE = '전략기획팀'; -- 9개 행이 수정 -- 전체 행의 모든 DEPT_TITLE값들이 모두 전략기획팀으로 수정됨. 이렇게 하면 안되구! UPDATE DEPT_C..
안녕하세요. 여니입니다 :) * 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데이터 조작 언어 테이블에 새로운 데이터를 삽입(INSERT)하거나 기존의 데이터를 수정(UPDATE)하거나 삭제(DELETE)하는 구문 1. INSERT : 테이블에 새로운 "행"을 추가하는 구문 [표현법] * INSERT INTO 계열 1) INSERT INTO 테이블명 VALUES(값1,값2,값3,...); -> 해당 테이블에 존재하는 "모든" 컬럼에 대해 추가하고자하는 값을 내가 직접 제시해서 "한 행"을 INSERT하고자할때 쓰는 표현법 ** 주의사항 ** 1) 칼럼의 순서, 2)자료형, 3)갯수를 맞춰서 VALUES괄호 안에 값을 나열해야함 - 부족하게 제시하면 : NOT ENOUGH VALUE 오류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nb9fA/btsi2NIUJLs/EJw9KcdiPPYoW9vVsjnbLk/img.png)
안녕하세요. https://blog.naver.com/sysysy0302 여니입니다 :) 7로 나누어 떨어질 때와 그렇지 않을 때를 구분하여 답을 완성시키는 문제였다.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 { if(n % 7 == 0){ return n / 7; }else{ return ( n / 7 )+1; } } } 그외 정답풀이 1)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 { return (n + 6) / 7; } } 다른 분들 풀이들은 항상 보고 배웁니다.... 이 엄청 간결한 식은 '6'을 '7'로 나누면 나머지가 0부터 6까지만 있어서 들어간 숫자라고 하네요! 정수론 개념을 잘 활용한 방법이었던 것 같아요. 2)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ujNaR/btsi2GixUSJ/IUw5400QZqXSmJ2JD0tLE1/img.png)
안녕하세요. https://blog.naver.com/sysysy0302 여니입니다 :) Arrays.sort()을 이용하여 배열(Array)을 정렬(sorting)할 수 있습니다. 배열에 저장된 객체의 타입(Integer, String 등)과 관련 없이, Comparable이 구현된 객체라면 모두 정렬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객체는 Comparable이 구현되어있습니다. sort()는 Comparable에 의해 리턴되는 값을 비교하여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배열을 정렬합니다. 1. int 배열 정렬 (오름차순, 내림차순) Arrays.sort()로 int 배열을 인자로 전달하면 오름차순으로 정렬됩니다. sort() 함수 내부에서 변수 arr의 순서를 변경해주기 때문에 리턴 값을 다른 변수에 할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