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808)
Yeonee's Story
1. 문자열.equals(문자열) public void method6() { // 특이케이스 . 문자열과 문자열간의 동등비교(문자열 == 문자열) // 사용자에게 이름을 입력받아 김소연과 일치하는지 확인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String name = sc.nextLine(); if( name == "김소연") { System.out.println("김소연님 반갑습니다"); }else { System.out.println("김소연님이 아니시네요 누구신가요?"); } * 기본자료형 : boolean, byte, short, int, long, float, double, char * 참조자료형 : String // 특이함 * 기본자료형간 비교시 == != 사용가능함..
- 조건식을 통해 참, 거짓 이냐를 판단해서 그에 해당하는 코드 실행 - 조건식의 결과는 항상 true/false여야함. 보통 조건식에서는 비교연산자(대소,동등), 논리연산자(&&,||)을 주로 사용한다. - 조건문은 크게 if문( 단독if, if~else, if ~eles if, 중복 if)과 switch문으로 나뉜다. 1. 단독 if문 [표현법] if(조건식) { 조건식이 true일때 실행되는 코드 } => 조건식의 결과가 참(true)일 경우 중괄호 블럭 안의 코드가 실행 => 조건식의 결과가 거짓(false)일 경우 중괄호 블럭은 무시하고 넘어감. 사용자에게 정수값을 입력받은후 "양수다" “양수가 아니다”를 출력 public void method1() { Scanner sc = new Scann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wiKm5/btr5Fa31ONd/9MwjGPSKcmbCNgK9yRCq30/img.png)
안녕하세요. #yeoneeblog 여니입니다 : 오늘은 논리 연산자와 삼항 연산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AND && : 조건식 A && 조건식 B * 조건식 A와 조건식 B가 모두 참일경우에만 true를 반환. * 둘중 하나라도 false값이 들어간경우 false값 반환 * OR || : 조건식 A || 조건식 B * 조건식 A와 조건식 B가 모두 거짓일 경우에만 false값 반환. * 둘중 하나라도 true가 들어간경우 true값 반환. 위와 같이 메소드를 입력 후 출력할 경우 논리연산자 &&을 사용했기때문에, 입력한 값이 짝수이고 양수여야지만 True가 출력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False가 출력됩니다. method2의 정수가 사용될때는 int예약어를 사용하고 method3의 영어 한글자를 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GBnZm/btr5D1GfFQW/kKxCA67XTQ2lwIrZzu1MO0/img.png)
안녕하세요. #yeoneeblog 여니입니다 :) 오늘은 비교연산자와 관계연산자의 정의 및 계산을 직접 해보고자 합니다. . . . 지난 포스팅 마지막 부분에 적어보았던 비교연산자와 관계연산자 부분부터 예시문과 함께 자세히 알아볼까요? * 두 개의 값을 가지고 비교한다. * 비교 연산한 결과가 참일 경우 true / 거짓을 경우 false값을 반환 (즉, 반환값이 boolean) => 후에 특정 조건을 제시할수 있는 조건문에서 많이 쓰일 예정 * 크고 작음을 비교 * a b : a가 b보다 큽니까? * a = b : a가 b보다 크거나 같습니까? * 일치함을 비교(동등비교) * a == b : a와 b가 같습니까? * a != b : a와 b가 같지 않습니까?..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HY684/btr6BkyPFIS/OKsNd5nkeUK7Ug1uu75600/img.png)
안녕하세요. #yeoneeblog 여니입니다 :) 오늘은 java의 기본 연산인 연산자1 파트와 이전 변수부분의 2파트를 포스팅해볼게요 :) 1. System.out.println("num1 + num2 + "+(num1+num2)); 이 메소드 num1+num2를 그대로 출력해버리면 String 문자열로 취급하기 때문에 103이라는 결과가 나온다. 2. System.out.println("num1-num2 = "+(num1-num2)); 문자열은 뺄셈이 불가능하다. 3. System.out.println("num1*num2 ="+(num1*num2)); System.out.println("num1/num2 ="+(num1/num2)); System.out.println("num1%num2 ="+(n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