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부모클래스 (3)
Yeonee's Story
안녕하세요. #yeoneeblog 여니입니다 :) 1. 다형성이란? (Polymorphism) 다형성은 기본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성질을 가진다는 의미입니다. 기본적으로 자바는 다형성을 그 특징으로 가지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자바에서는 이 다형성을 이용하여 객체를 사용할 때 사용하는 변수 형태를 바꾸어 여러 타입의 객체를 참조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다형성의 개념을 적절하게 이용할 때 프로그래밍의 소스 코드를 유연하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다형성은 부모 클래스 타입의 참조변수로 하위 클래스의 객체를 참조할 수 있게 해줍니다. 2. 자바에서 다형성 활용해보기 package Polymorphism; public class Fruit { String name; int price; int..
안녕하세요. https://blog.naver.com/sysysy0302 여니입니다 :) 상속 상속이란 클래스 간의 상호작용입니다. 쉽게 말해서 다른 클래스가 가지고 있는 정보를 자신이 포함하겠다는 의미입니다. 즉, 다른 클래스에 대한 정보를 상속받아 자신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상속을 적절히 활용할 때 불필요한 코드의 수를 줄일 수 있어서 상당히 효율적인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공부파일 - Git 주소 지난번 기초적인 상속 내용을 확인해보며 직접 실습해보았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위의 git 주소를 확인해주세요. 직접 실습을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자바에서는 이러한 상속하여 쓰이는 get,set함수를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편리한 기능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마우스 우클릭 - Source ..
안녕하세요. https://blog.naver.com/sysysy0302 여니입니다 :) 오늘은 캡슐화, 추상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을 구성하는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인 '상속(Inheritanc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상속의 개념 상속이란 일반적으로 우리의 실생활에서도 쓰이는 용어입니다. 부모가 자식에게 재산을 물려주는 행위를 상속이라고 칭하는데요, Java에서도 상속은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상속(Inheritance)이란 부모클래스의 속성과 메소드를 자식클래스가 물려받아 그대로 사용 가능하게 해줍니다. 여기서 부모클래스는 superclass, 자식클래스를 subclass라고 부릅니다. 자식클래스는 부모클래스의 모든 멤버 변수와 메서드를 자신의 클래스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식클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