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Service (2)
Yeonee's Story
[Linux] window 로컬 서비스 service 시작유형 (수동/자동/사용안함)변경하기
안녕하세요. #yeoneeblog 여니입니다 :) * 서비스란? 기동과 동시에 자동으로 로드(실행)되는 프로세스 먼저 하단의 검색탭에서 '서비스'를 검색합니다. 그럼 이렇게 서비스 관리 창이 열립니다. 로컬에서 내가 사용하지 않을 서비스를 찾아, 마우스 우클릭으로 '속성'을 클릭해줍니다. 이렇게 자동, 수동, 사용안함 중에서 내가 원하는 서비스 시작 유형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 작업관리자 창에서 '서비스'탭을 이용하여 확인이 가능합니다.
⋆ 。゜☁︎ 。⋆ 。゜☾゜。⋆⋆ 。゜☁︎ 。⋆ 。゜☾゜。⋆/Linux
2023. 11. 8. 22:11
JDBC - Connection, Statement, PreparedStatement, ResultSet, Service, JDBCTemplate 개념 및 특징
안녕하세요. https://blog.naver.com/sysysy0302 여니입니다 :) * JDBC용 객체 * - Connection : DB의 연결정보를 담고 있는 객체(IP주소, PORT번호, 계정명, 비밀번호) * - (Prepared)Statement : 해당 db에 sql문을 전달하고 실행한 후 결과를 받아내는 객체 * - ResultSet : 만일 실행한 SQL문이 SELECT문일 경우 조회된 결과들이 담겨있는 객체. * * ** PreparedStatement 특징 : SQL문을 바로 실행하지 않고 잠시 보관하는 개념 * 미완성된 SQL문을 먼저 전달하고 실행하기전에 완성시킨다. * => 미완성된 SQL문 만들기 (사용자가 입력한 값들이 들어가는 * 공간에 ?(위치홀더)로 공간을 확보해둔다..
⋆ 。゜☁︎ 。⋆ 。゜☾゜。⋆⋆ 。゜☁︎ 。⋆ 。゜☾゜。⋆/JDBC
2023. 6. 20. 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