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yeoneeblog 여니입니다 :)
오늘은 java의 기본 연산인 연산자1 파트와 이전 변수부분의 2파트를 포스팅해볼게요 :)
1. System.out.println("num1 + num2 + "+(num1+num2));
이 메소드 num1+num2를 그대로 출력해버리면 String 문자열로 취급하기 때문에 103이라는 결과가 나온다.
2. System.out.println("num1-num2 = "+(num1-num2));
문자열은 뺄셈이 불가능하다.
3. System.out.println("num1*num2 ="+(num1*num2));
System.out.println("num1/num2 ="+(num1/num2));
System.out.println("num1%num2 ="+(num1%num2));
곱셈, 나눗셈, 모듈러 연산의 경우 덧셈보다는 우선순위가 높기 때문에 괄호로 묶지 않아도 정확한 결과가 나온다. 다만, 가독성 확보를 위해 묶어두는 것을 권장한다.
4. System.out.println(10%0)
수학과 마찬가지로 0으로 나누기는 불가능하며, 출력시 에러가 발생한다.
5. +=의 경우 문자열도 접합이 가능하다.
String str = "hello";
str += "world";
System.out.println(str+(String)""); 을 출력하면 ‘helloworld’가 출력된다.
<++ -- 증감연산자 (단항연산자)>
++ : 변수에 담긴 값을 1 증가시키는 연산자
++ 변수값(전위연산자) 변수값 ++(후위연산자)
-- : 변수에 담긴 값을 1 감소시키는 연산자
-- 변수값(전위연산자) 변수값 --(후위연산자)
(증감연산자) 변수 : 전위연산 -> 선증감 후처리
변수 (증감연산자) : 후위연산 -> 선처리 후증감
<예시문제>
a는 후위연산으로 10이 출력되지만 11의 값을 갖고 있고, b도 후위연산으로 20이 출력되지만 21의 값을 갖고 있다. c는 전위연산으로 29로 출력되며 연산값의 결과는 61이 출력되고, a:13, b:20, c:29로 출력된다.
<복합대입연산자 : 산술연산자와 대입연산자를 함께 사용하는 연산자>
+ 연산처리속도가 빨라지므로 사용하는걸 권장함
+=, -=, *=, /=, %=
a = a +3; => a += 3;
a = a -3; => a -= 3;
a = a *3; => a *= 3;
a = a /3; => a /= 3;
a = a %3; => a %= 3;
“기존의 a 값에 3을 더하거나, 빼거나, 나누거나, 곱하고 그 결과값을 다시 한번 a변수에 대입해주겠다.”라는 뜻
<논리부정연산자 ! (단항연산자)>
!논리값
논리값(True/false)을 반대로 바꿔주는 연산자이다.
- 괄호로 묶인 단항연산자는 단순, 가독성을 위한 표기임
- 왼쪽연산에서 우측연산 순서로 진행함
<비교연산자 / 관계연산자 (이항연산자)>
1. 두 개의 값을 가지고 비교
비교 연산한 결과가 참일 경우 true / 거짓일 경우 false값을 반환
=> 후에 특정 조건을 제시할 수 있는 조건문에서 많이 쓰일 예정
2. 크고 작음을 비교
a<b : a가 b보다 작습니까?
a>b : a가 b보다 큽니까?
a<=b : a가 b보다 작거나 같습니까?
a>=b : a가 b보다 크거나 같습니까?
3. 일치함을 비교 (동등비교)
a==b : a와 b가 같습니까?
a!=b : a와 b가 같지 않습니까?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 단독if문,if~else문,if ~ else if문,String result(1) (0) | 2023.03.30 |
---|---|
[자바] 논리연산자 및 유니코드, dead코드 활용법 (0) | 2023.03.30 |
[자바] 비교연산자, 관계연산자 계산해보기 (0) | 2023.03.29 |
[자바] 자바의 변수1 (0) | 2023.03.24 |
[자바] Eclipse 다운로드 설치 및 환경설정 (0) | 2023.03.22 |